아포스티유 협약
외국공문서에 대한 인증의 요구를 폐지하는 협약(Hague Convention Abolishing the Requirement of Legalisation for Foreign Public Documents), 아포스티유 협약(Apostille Convention), 아포스티유 조약(Apostille Treaty)은 헤이그국제사법회의가 제안한 국제 조약이다. 조인국들 중 한 곳에서 발행한 문서가 다른 모든 조인국들에서 합법적으로 인증하는 양상을 규정한다. 이 협약의 인증을 아포스티유(apostille)라고 부른다. 국가법의 공증과 비견할 만한 국제 인증이며 문서에 대한 지역적인 공증을 보충해 주는 것이 보통이다. 두 나라 사이에 협약이 적용되면 이 아포스티유만으로 문서의 유효성을 공증하기에 충분하며 이중 인증이 불필요하다.
정보
[편집]아포스티유 그 자체는 표준화된 10개의 칸으로 이루어진 인쇄된 양식과 도장으로 구성된다. 맨 위에는 "APOSTILLE"(아포스티유)라는 문구가 있으며 그 아래에 "Convention de La Haye du 5 octobre 1961"(1961년 10월 5일 헤이그 협약)이라는 문구가 배치된다. 이 제목은 아포스티유 발효를 위해 프랑스어로 작성되어야 한다.(협약 제4항) 번호로 된 칸의 경우 발행 기관의 공식 언어 또는 제2언어로 다음의 정보가 추가된다:
국가(Country) … [예: 중국, 홍콩 (Hong Kong, China)]
이 공문서의(This public document)
- 서명자(has been signed by) [예: Henry Cho]
- 공증기관(acting in the capacity of) [예: Notary Public]
- 검인기관(bears the seal/stamp of) [예: High Court of Hong Kong]
공증(Certified) - 장소(at) [예: Hong Kong]
- 날짜(the) … [예: 16 April 2014]
- 수행기관(by) … [예: the Chief Executive of the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of Hong Kong]
- 번호(No) … [예: 2536218517]
- 도장(Seal/stamp) … [아포스티유 발급 기관(of the authority giving the apostille)]
- 서명(Signature)
이 정보는 문서 자체 또는 문서의 뒷면에 배치하거나 부전(附箋)으로서 문서에 부착될 수 있다.
적법한 문서
[편집]네 가지 유형의 문서들이 협약에 언급되어 있다:[1]
- 법원 문서(court document)
- 행정 문서(administrative document, 예: 호적 문서)
- 공증(notarial act)
- 공식 인증서(official certificate)
당사국
[편집]국가 | 발효일 | 아포스티유 비인정 지역 |
---|---|---|
알바니아 | 2004년 5월 9일 | 벨기에 (2015년까지), 독일, 그리스, 이탈리아 (2011년까지), 스페인 (2017년까지[2]). |
안도라 | 1996년 12월 31일 | |
앤티가 바부다 | 1981년 11월 1일 | |
아르헨티나 | 1988년 2월 18일 | 코소보 |
아르메니아 | 1994년 10월 14일 | 코소보 |
오스트레일리아 | 1995년 3월 16일 | |
오스트리아 | 1968년 1월 13일 | 브룬디, 도미니카 공화국, 코소보, 키르기스스탄, 몽골, 타지키스탄, 우즈베키스탄 |
아제르바이잔 | 2005년 3월 2일 | 독일, 헝가리 (2005년까지), 코소보, 네덜란드 (2010년까지) |
바하마 | 1973년 7월 10일 | |
바레인 | 2013년 12월 31일 | |
바베이도스 | 1966년 11월 30일 | |
벨라루스 | 1992년 5월 31일 | 코소보 |
벨기에 | 1973년 2월 9일 | 알바니아 (2015년까지), 도미니카 공화국, 인도 (2008년까지), 키르기스스탄, 라이베리아, 몽골, 타지키스탄, 우크라이나 (2004년까지), 우즈베키스탄 |
벨리즈 | 1993년 4월 11일 | |
볼리비아 | 2018년 5월 7일 | |
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| 1992년 3월 6일 | |
보츠와나 | 1966년 9월 30일 | |
브라질 | 2016년 8월 14일 | |
브루나이 | 1987년 12월 3일 | |
불가리아 | 2001년 4월 29일 | |
부룬디 | 2015년 2월 13일 | 오스트리아, 체코, 독일, 폴란드 |
카보베르데 | 2010년 2월 13일 | |
칠레 | 2016년 8월 30일 | |
콜롬비아 | 2001년 1월 30일 | |
쿡 제도 | 2005년 4월 30일 | |
코스타리카 | 2011년 12월 14일 | |
크로아티아 | 1991년 12월 8일 | |
키프로스 | 1973년 4월 30일 | 코소보 |
체코 | 1999년 3월 16일 | |
덴마크 | 2006년 12월 26일 | |
도미니카 연방 | 1978년 11월 3일 | |
도미니카 공화국 | 2009년 8월 30일 | 오스트리아, 벨기에, 독일, 네덜란드 |
에콰도르 | 2005년 4월 2일 | |
엘살바도르 | 1996년 5월 31일 | |
에스토니아 | 2001년 9월 30일 | |
에스와티니 | 1968년 9월 6일 | |
피지 | 1970년 10월 10일 | |
핀란드 | 1986년 8월 26일 | |
프랑스 | 1965년 1월 24일 | |
조지아 | 2007년 5월 14일 | 독일 (2010년까지), 코소보, 그리스 (2015년까지) |
독일 | 1966년 2월 13일 | 알바니아, 아제브라이잔, 브룬디, 도미니카 공화국, 조지아 (2010년까지), 인도, 코소보, 키르기스스탄, 라이베리아, 몰도바, 몽골, 모로코, 파라과이, 페루 (2014년까지), 타지키스탄, 우크라이나 (2010년까지), 우즈베키스탄 |
그리스 | 1985년 5월 18일 | 알바니아, 조지아 (2015년까지), 코소보, 키르기스스탄, 몽골, 페루, 우즈베키스탄 |
그레나다 | 2002년 4월 7일 | |
과테말라 | 2017년 9월 18일 | |
온두라스 | 2004년 12월 30일 | |
홍콩 | 1965년 4월 25일 | |
헝가리 | 1973년 1월 18일 | 아제르바이잔 (2005년까지), |
아이슬란드 | 2004년 11월 27일 | |
인도 | 2005년 7월 14일 | 벨기에 (2008년까지), 핀란드 (2009년까지), 독일,[3] 네덜란드 (2008년까지), 스페인 (2008년까지), 코소보 |
아일랜드 | 1999년 3월 9일 | |
이스라엘 | 1978년 8월 14일 | 코소보 |
이탈리아 | 1978년 2월 11일 | 알바니아 (2011년까지) |
일본 | 1970년 7월 27일 | |
카자흐스탄 | 2001년 1월 30일 | |
코소보 | 2016년 7월 14일 | 아르헨티나, 아르메니아, 오스트리아, 아제르바이잔, 벨라루스, 중국 (홍콩, 마카오에 해당), 키프로스, 독일, 조지아, 그리스, 인도, 이스라엘, 모리셔스, 니카라과, 멕시코, 몯로바, 나미비아, 파라과이, 페루, 폴란드, 러시아, 루마니아, 세르비아, 슬로바키아, 우즈베키스탄, 베네수엘라 |
키르기스스탄 | 2011년 7월 31일 | 오스트리아, 벨기에, 독일, 그리스 |
라트비아 | 1996년 1월 30일 | |
레소토 | 1966년 12월 4일 | |
라이베리아 | 1996년 2월 8일 | 벨기에, 독일, 미국 (2015년까지) |
리히텐슈타인 | 1972년 9월 17일 | |
리투아니아 | 1997년 7월 19일 | |
룩셈부르크 | 1979년 6월 3일 | |
마카오 | 1969년 2월 4일 | 코소보 |
북마케도니아 | 1991년 11월 17일 | |
말라위 | 1967년 12월 2일 | |
몰타 | 1968년 3월 3일 | |
마셜 제도 | 1992년 8월 14일 | |
모리셔스 | 1968년 3월 12일 | 코소보 |
멕시코 | 1995년 8월 14일 | 코소보 |
몰도바 | 2007년 3월 16일 | 독일, 코소보 |
모나코 | 2002년 12월 31일 | |
몽골 | 2009년 12월 31일 | 오스트리아, 벨기에, 핀란드, 독일, 그리스 |
몬테네그로 | 2006년 6월 3일 | |
모로코 | 2016년 8월 14일 | 독일 |
나미비아 | 2001년 1월 30일 | 코소보 |
네덜란드 | 1965년 10월 8일 | 아제르바이잔 (2010년까지), 도미니카 공화국, 인도 (2008년까지) |
뉴질랜드 | 2001년 11월 22일 | |
니카라과 | 2013년 5월 14일 | 코소보 |
니우에 | 1999년 3월 2일 | |
노르웨이 | 1983년 7월 29일 | |
오만 | 2012년 1월 30일 | |
파나마 | 1991년 8월 4일 | |
파라과이 | 2014년 8월 30일[4] | 독일, 코소보 |
페루 | 2010년 9월 30일 | 독일 (2014년까지), 그리스, 코소보 |
폴란드 | 2005년 8월 14일 | 코소보 |
포르투갈 | 1969년 2월 4일 | |
루마니아 | 2001년 3월 13일 | 코소보 |
러시아 | 1992년 5월 31일 | |
세인트키츠 네비스 | 1994년 12월 14일 | |
세인트루시아 | 2002년 7월 31일 | |
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| 1979년 10월 27일 | |
사모아 | 1999년 9월 13일 | |
산마리노 | 1995년 2월 13일 | |
상투메 프린시페 | 2008년 9월 13일 | |
세르비아 | 1992년 4월 27일 | 코소보 |
세이셸 | 1979년 3월 31일 | |
슬로바키아 | 2002년 2월 18일 | 코소보 |
슬로베니아 | 1991년 6월 25일 | |
남아프리카 공화국 | 1995년 4월 30일 | |
대한민국 | 2007년 7월 14일 | |
스페인 | 1978년 9월 25일 | 알바니아, 인도 (2008년까지), 코소보 |
수리남 | 1975년 11월 25일 | |
스웨덴 | 1999년 5월 1일 | |
스위스 | 1973년 3월 11일 | |
타지키스탄 | 2015년 10월 31일 | |
통가 | 1970년 6월 4일 | |
트리니다드 토바고 | 2000년 7월 14일 | |
튀니지 | 2018년 3월 30일 | |
튀르키예 | 1985년 9월 29일 | |
우크라이나 | 2003년 12월 22일 | 벨기에 (2004년까지), 그리스 (2010년까지), 코소보 |
영국 | 1965년 1월 24일 | |
미국 | 1981년 10월 15일 | 라이베리아 (2015년까지) |
우루과이 | 2012년 10월 14일 | |
우즈베키스탄 | 2012년 4월 15일 | 오스트리아, 벨기에, 독일, 그리스, 코소보 |
바누아투 | 1980년 7월 30일 | |
베네수엘라 | 1999년 3월 16일 | 코소보 |
각주
[편집]- ↑ “12: Convention of 5 October 1961 Abolishing the Requirement of Legalisation for Foreign Public Documents”. 헤이그국제사법회의. 2011년 1월 16일에 확인함.
- ↑ boe/txt.php?id=BOE-A-2017-2061 “BOE.es - Documento BOE-A-2017-2061”
|url=
값 확인 필요 (도움말). 《www.boe.es》 (스페인어). 2018년 2월 23일에 확인함.[깨진 링크(과거 내용 찾기)] - ↑ en.php?act=conventions.status&cid=41 “Status Table - 12: Convention of 5 October 1961 Abolishing the Requirement of Legalisation for Foreign Public Documents”
|url=
값 확인 필요 (도움말). 헤이그국제사법회의. 2014년 5월 21일에 확인함.[깨진 링크(과거 내용 찾기)] - ↑ “Archived copy”. 18 September 2014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18 September 2014에 확인함.
- ↑ Strong and Herd Import/Export Services, A customer in Saudi has asked for our contract to be legalised, what does this mean? Archived 2018년 2월 24일 - 웨이백 머신, accessed 23 February 2018
외부 링크
[편집]- 법률 문서
- 알바니아의 조약
- 안도라의 조약
- 앤티가 바부다의 조약
- 아르헨티나의 조약
- 아르메니아의 조약
- 오스트레일리아의 조약
- 오스트리아의 조약
- 아제르바이잔의 조약
- 바하마의 조약
- 바레인의 조약
- 바베이도스의 조약
- 벨라루스의 조약
- 벨기에의 조약
- 벨리즈의 조약
- 볼리비아의 조약
-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조약
- 보츠와나의 조약
- 브루나이의 조약
- 불가리아의 조약
- 부룬디의 조약
- 카보베르데의 조약
- 칠레의 조약
- 콜롬비아의 조약
- 코스타리카의 조약
- 크로아티아의 조약
- 키프로스의 조약
- 체코의 조약
- 덴마크의 조약
- 도미니카 연방의 조약
- 도미니카 공화국의 조약
- 에콰도르의 조약
- 엘살바도르의 조약
- 에스토니아의 조약
- 에스와티니의 조약
- 핀란드의 조약
- 프랑스의 조약
- 조지아의 조약
- 그리스의 조약
- 그레나다의 조약
- 과테말라의 조약
- 온두라스의 조약
- 아이슬란드의 조약
- 인도의 조약
- 아일랜드의 조약
- 이스라엘의 조약
- 이탈리아의 조약
- 일본의 조약
- 카자흐스탄의 조약
- 키르기스스탄의 조약
- 라트비아의 조약
- 레소토의 조약
- 라이베리아의 조약
- 리히텐슈타인의 조약
- 리투아니아의 조약
- 룩셈부르크의 조약
- 북마케도니아의 조약
- 말라위의 조약
- 몰타의 조약
- 모리셔스의 조약
- 멕시코의 조약
- 몰도바의 조약
- 모로코의 조약
- 모나코의 조약
- 몽골의 조약
- 몬테네그로의 조약
- 나미비아의 조약
- 네덜란드의 조약
- 뉴질랜드의 조약
- 니카라과의 조약
- 노르웨이의 조약
- 오만의 조약
- 파나마의 조약
- 파라과이의 조약
- 페루의 조약
- 폴란드의 조약
- 루마니아의 조약
- 러시아의 조약
- 세인트키츠 네비스의 조약
- 세인트루시아의 조약
-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의 조약
- 산마리노의 조약
- 상투메 프린시페의 조약
- 세이셸의 조약
- 슬로바키아의 조약
- 슬로베니아의 조약
-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조약
- 대한민국의 조약
- 스페인의 조약
- 수리남의 조약
- 스웨덴의 조약
- 스위스의 조약
- 타지키스탄의 조약
- 튀니지의 조약
-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조약
- 튀르키예의 조약
- 우크라이나의 조약
- 영국의 조약
- 미국의 조약
- 우루과이의 조약
- 우즈베키스탄의 조약
- 베네수엘라의 조약
- 유고슬라비아의 조약
- 1961년 체결된 조약
- 헤이그의 역사
- 1965년 발효된 조약
- 1961년 네덜란드